본문 바로가기

제미스마트(Zemismart) 3구 벽부형 스마트 스위치 리뷰

yourjune 2024. 5. 22.
반응형

제미스마트 3구 스마트 스위치 리뷰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이미 6구, 4구 스위치를 다루었습니다.

4구 스위치와 박스 및 구성은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차이점이 있다면 지난 포스팅의 스위치는 중성선이 필요한 버전이었다면 이번에는 중성선이 필요 없는 버전입니다. 외관은 똑같기 때문에 주문할 때 중성선 버전을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제미스마트 3구 스마트 스위치 박스 보기

지난번에 리뷰했던 4구 스위치와 박스는 똑같습니다.

 

옆 면을 보면 3 Gang, Zigbee, White, Live라고 적혀 있습니다. 각각의 의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3Gang - 3구 스위치
  • Zigbee - Zigbee 방식으로 통신하는 스위치(별도의 지그비 허브가 필요함)
  • White - 스위치 색깔이 흰색임
  • Live - 중성선이 필요없고 활선과 스위치선만 있으면 됨. (일명 2선식)

 

반대쪽을 보면 Remote Coltrol, Voice Control, Manual이라고 적혀 있습니다. 앱을 통한 원격 제어, AI스피커를 통한 제어, 직접 켜고 끄기가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겉면에는 구글 어시스턴트와 아마존 알렉사 이미지가 첨부되어 있습니다. 허브와 연동해 사용할 경우 목소리를 통한 작동이 가능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제미스마트 3구 스마트 스위치 박스 개봉하기

박스를 개봉하면 스위치 본체와 설명서가 있습니다. 설명서는 일반적인 내용이므로 처음 설치할 때 한번쯤은 읽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중요한 내용은 페어링 모드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1~3구 스위치 중 아무스위치나 10~15초 정도 누르면 된다는 내용입니다.

허브 페어링 내용도 포함되어 있으나 허브의 종류에 따라 다르므로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구성품은 스위치 본체, 설명서, 나사(2개)입니다.

 

 

제미스마트 3구 스마트 스위치 살펴보기

스위치 뒷면을 보면 지난번 4구 스위치와 다른 점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N이라고 적혀 있는 구멍이 없습니다. 이유인 즉, 이 스위치는 중성선 없이도 작동하는 2선식이기 때문입니다. L1스위치에 통하는 약한 전류를 통해 스위치의 작동 전류를 확보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2선식 스위치의 1전 등기구는 저전력으로 작동하는 경우 플리커링(깜박거림)이 발생하거나 스위치를 끈 상태에서도 불이 켜져 있는 것과 같은 증상(잔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잔광콘덴서를 추가하여 해결할 수 있고 잔광콘덴서로도 해결이 안되면 3선식(중성선 필요)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스위치 뒷면에는 추가적으로 전압, 허용 전류, 스위치당 최대 전력 및 통신방식(Zigbee 2.4GHz)가 적혀 있습니다. 110~240V이므로 전압과 관련 없이 대부분의 국가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위치당 700W 이하(LED인 경우 300W이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위치 앞 커버를 벗겨내면 PCB판이 보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얘기했듯이 하나의 PCB로 다양한 스위치를 만들기 위한 회로 배치가 눈에 띕니다. 3구 스위치이므로 버튼이 3개 마련되어 있고 반대쪽에 푸른색 LED가 3개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클릭감이 조금 저렴하긴 하지만 커버까지 씌워놓으면 아주 깔끔한 스위치가 됩니다.

 

 

제미스마트 3구 스마트 스위치 설치하기

우선 기존 스위치를 제거해 줍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것도 제미스마트인데 아래 제품은 동시 ON/OFF가 안되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안전을 위해 전기를 내리고 스위치를 교체합니다.

 

새롭게 설치할 스위치를 결선만 우선 해 놓은다음 전기를 켜봅니다. 이렇게 작업하는 이유는 고정까지 다 했다가 작동이 불량하는 등 다시 뜯어야 하는 일이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가능하면 이 상태에서 허브까리 페어링 하면 좋습니다. 위에서도 적었듯이 페어링 모드 진입은 아무 스위치나 10~15초입니다.

 

허브와 연동하면 아래와 같이 장비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엣지 드라이버에 따라 앱에서 스위치 개별 조작이 안되는 경우(스위치 1번만 끄면 1~3번 다 꺼지는 현상)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엣지 드라이버를 교체하여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4구 스위치, 3구 스위치 불문하고 아래 이미지를 보고 스위치 커버 연결부가 위쪽으로 가도록 설치해야 실제 배선과 스위치 순서가 맞습니다. 저 부분이 아래로 내려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아래는 설치를 마친 모습입니다. 스위치 외관으로는 흠잡을 데 없이 깔끔한 모습입니다.

오늘 들어보니 릴레이 소음도 크지 않은편이고 반응속도도 매우 빠른편입니다. 스위치 선택에 도움이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