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미스마트(Zemismart) 벽부형 4구, 6구 스마트 설치 방법, 리뷰

yourjune 2024. 5. 22.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미스마트 스마트 스위치를 리뷰해 보려고 합니다. 스마트홈을 구성하는데 가장 쉬운 방법은 스위치를 스마트허브와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브릿지허브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스마트홈이 구성되어 있지 않은 곳에서는 스위치 교환이 필수입니다.

다양한 스위치가 출시된다는 점은 소비자 입장에서는 선택권이 넓어진다는 의미에서 바람직합니다. 이번 리뷰를 통해 제미스마트 스마트 스위치의 외관과 설치방법, 스마트싱스 연동법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제미스마트 스마트 스위치 구입하기

가장 먼저 제미스마트 스마트 스위치를 구입할 때 중요한 점은 2선식(중성선 불필요)으로 구매할 것인지, 3선식(중성선 필요)으로 구매할 것인지를 선택해야 합니다. 저도 구입하면서 실수한 부분이 2선식으로 구입을 해야 하는데 현대카드 이벤트로 빠르게 구입을 하다보니 3선식으로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기회를 빌어 중성선 인입 작업도 병행했습니다. 

우선 중성선에 대한 개념 이해가 필요한 분들은 아래 링크를 따라가시기 바랍니다.

 

아래는 제가 구입한 링크입니다. 제품마다 설명이 조금씩 다른데 중점적으로 봐야 하는 부분은 중성선 필요유무입니다.

https://ko.aliexpress.com/item/1005006031311787.html

 

32460.0₩ 13% OFF|Zemismart 투야 지그비 벽 조명 스위치, 중립 푸시 단추, 인터럽터 커튼 스위치, 알렉

Smarter Shopping, Better Living! Aliexpress.com

ko.aliexpress.com

 

구입할 수 있는 스위치는 1, 2, 3, 4, 6구 스위치와 커튼용 스위치입니다. 1, 2, 3, 4, 커튼 스위치는 스위치 박스 1칸용이고 6구는 스위치박스 2칸용입니다. 설치할 곳의 스위치박스를 잘 확인하고 구매해야 합니다.

 

 

제미스마트 스마트 스위치 살펴보기

이번에 리뷰할 제품은 6구와 4구 스위치입니다.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스위치가 2구라고 해서 스마트 스위치도 꼭 2구로 설치할 필요는 없습니다. 2구는 배선으로 연결하고 나머지 2구는 루틴 스위치로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물론 2구에 딱 맞춰 설치해도 관계 없습니다.

제미스마트 스마트 스위치의 박스는 아래와 같습니다. 겉박스를 보면 구글 어시스턴트, 아마존 알렉사와 호환된다고 나와 있습니다. 지그비 버전은 스위치를 통제해 줄 스마트허브(지그비 호환)가 필요합니다.

 

박스를 개봉하면 비닐에 싸여 있는 스위치 본체와 설명서가 보입니다.

 

개봉하여 뒷면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L1~L6까지 스위치 선을 연결하고 L에 라이브선(활성), N에 중성선을 연결하면 됩니다. 케이블 연결방식은 나사를 조이는 방식입니다. 전선부가 드러나지 않게 하려면 클립식 스위치를 쓸 때보다 선을 조금 짧게 피복하는 것이 좋습니다. (10mm 미만)

 

커버를 벗겨내면 스위치 버튼과 LED가 보입니다. 스위치 버튼은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마우스 버튼과 동일합니다. 나중에 총평에 적겠지만 버튼감이 좋은 편은 아닙니다. 버튼과 릴레이가 별도로 구성되어 있어 전원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눌렀을 때 마우스 클릭음만 들리고 전원을 연결하면 딸깍하는 릴레이 소리까지 들립니다.

 

6구는 스위치 구성이 하나 밖에 없어 PCB판이 간단하나 아래 4구를 보면 1~4구 스위치의 갯수에 따라 버튼 접점부가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원가 절감을 위해 단일 PCB에 버튼 위치와 갯수만 다르게 해 놓은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제미스마트 스마트 스위치 설치하기

아래는 중성선 시공을 위해 선을 빼놓은 모습입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스위치는 다원의 Z-Wave 3구 스위치 2개와 Tuya 스위치였습니다. 다원 Z-Wave 스위치는 연결은 비교적 안정적인데 반응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습니다. 2칸 짜리 스위치가 많지 않아서 그동안 계속 사용했는데 이번 기회를 빌어 교체합니다. Tuya 스위치는 동시 입력이 안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 것도 이번 기회로 철거하고 새롭게 설치했습니다.

 

전기작업은 감전 및 합선의 위험이 있으니 차단기를 내리고 절연 장갑을 끼고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아무생각 없이 노란색 HIV선을 넘겼는데 이미 노란선이 스위치 선으로 쓰이고 있어 라벨지로 표시를 해 주었습니다.

 

 

선을 고정하는 방식은 나사로 조이는 방식입니다. 개인적으로는 클립식을 선호하나 스마트스위치는 나사식으로 많이 나오는 편입니다.

 

2~4구 스위치를 설치할 때 주의할 점은 커버 분리용 단자가 있는 부분을 위로 설치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보통의 스위치에서는 저 부분이 미관상 아래로 가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 스위치의 경우 저 부분을 아래 설치할 경우 스위치 번호가 배선이 거꾸로 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6구 스위치의 경우에는 위 표시가 있었는데 4구 설치시에는 위 표시가 따로 없으므로 설치시 주의해야 합니다.

 

모든 배선이 끝나면 스위치를 완전히 고정하기 전에 전기를 올리고 작동 테스트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능하면 스마트 스위치를 허브에 연동까지 한 다음에 스위치를 고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제미스마트 스마트 스위치 스마트싱스 연결하기

아래는 제미스마트 스마트 스위치를 스마트싱스 허브에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투야 허브 등 다른 허브는 아래 설명과 다를 수 있습니다.

 

 

엣지 드라이버 설치하기

스마트싱스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엣지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합니다.

룰루해피님 Zigbee Multi Switch by iquix

- GITHUB 주소: https://github.com/iquix/ST-Edge-Driver

- 초대링크: https://bestow-regional.api.smartthings.com/invite/qWjB0pNyY62y

 

아래 이미지와 조금 다른데 추후 드라이버를 변경하여 위 드라이버로 안내드립니다.

 

 

제미스마트 스위치 스마트싱스와 연결하기

스위치에 처음 전기를 인가하면 자동으로 페어링 모드로 들어가는데 이 때 스마트싱스에 페어링하거나 아니면 1~6구 버튼 중 아무 버튼을 파란색 LED가 깜박일 때까지 10~15초 정도 누르면 페어링 모드로 진입합니다.

특이한 점은 6구 스위치의 경우 1~3번, 4~6번 이렇게 두 개의 개별 스위치로 각각 페어링을 해줘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4구 스위치의 경우 TS0004 스위치로 인식되었습니다.

 

 

제미스마트 스위치 설치 후 모습 보기, 루틴 설정 및 활용하기

위에서 적었듯이 저는 2구 스위치가 필요한 곳에 4구 스위치, 4구 스위치가 필요한 곳에 6구 스위치를 설치했습니다.

각각 2개의 루틴 스위치를 설정했는데 참고로 안내드립니다.

아래 4구 스위치에서 실제 배선이 연결된 스위치는 화장실 조명과 환기입니다. 아래 두 버튼은 자녀가 자러 들어갈 때 준비하는 버튼과 잘 준비가 끝날 때 제가 누르는 소등 버튼입니다.

6구 스위치에서는 제일 아래 있는 취침, 기상 루틴이 선이 연결되지 않은 스위치입니다. 보통 잠자리에 들거나 일어나서 먼저 들르는 곳이 화장실이기 때문에 화장실 스위치에 루틴을 설정해 두었습니다.

사실 모든 조명은 모션센서와 재실센서를 통해 자동화되어 있기 때문에 물리스위치를 직접 누를 일은 거의 없지만 손님들이 쓰시는 상황을 생각해 라벨링도 같이 해 두었습니다.

 

루틴 구성은 아래처럼 해 두었습니다. 모멘터리 스위치를 버튼처럼 쓰기 위해 스위치를 켜고 3초 뒤에 꺼지게 하고 별도의 모드(루틴)이 실행되게 설정해 두었습니다.

 

 

총평 및 장점과 단점

 

이번에 제미스마트 스마트 스위치를 설치하면서 느낀 장점과 단점을 적어보겠습니다.

장점

제미스마트 스마트 스위치의 가장 큰 장점은 표준 복스 크기에 맞는 한국형 스위치이면서도 디자인이 미니멀하고 깔끔하게 나왔다는 점입니다. 그동안의 스마트스위치는 나 스마트스위치야를 뽐내려는 모양이 많아서 이너스위치를 물려 쓰는 분들도 많았는데 그런 부분을 잘 파악하고 나온 것으로 보입니다.

단점

단점은 스위치 조작감이 다소 저렴한 느낌(마우스 클릭감)이라는 부분과 버튼 LED의 휘도가 떨어져 낮에는 잘 보이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위 장점과 단점을 차치하더라도 스위치 선택지가 많아진다는 점은 아주 좋은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스위치 선택에 도움이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