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Green M.2 SSD 외장 케이스 리뷰

yourjune 2024. 5. 21.
반응형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에서 노트북에 M.2 NVMe SSD를 설치하고 나온 SSD를 어떻게 활용할까 고민하다가 외장 케이스를 구매하게 되었습니다. 지난 포스팅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M.2 SSD 외장 케이스 구입하기

구매는 알리에서 했고 5일정도 걸려 배송을 받았습니다. M.2 케이스로 검색하면 SATA용, NVMe용, SATA와 NVMe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 각각 있는데 저는 현재 SATA3 SSD를 사용하고 추후에 NVMe SSD를 끼울 목적으로 구입했습니다. 가지고 있는 M2 SSD가 NVMe SSD라면 굳이 SATA 호환 케이스를 구매할 필요는 없습니다. SATA SSD는 이제 거의 단종되었기 때문입니다.

https://ko.aliexpress.com/item/1005004622441562.html

 

 

M.2 SSD 외장 케이스 외관 보기

아래는 노트북에 설치한 SK하이닉스 P31 SSD케이스와 비교한 사진입니다. 이번에 노트북에 P31 SSD로 교체하였고 기존에 달려 있던 SATA SSD를 이용하여 외장케이스에 구성해 보았습니다.

뒷면에는 스팩이 적혀있습니다.

M.2 2230, 2242, 2260, 2280 SSD를 모두 지원합니다. SSD타입으로는 SATA와 NVMe SSD를 모두 지원합니다.

 

 

M.2 SSD 외장 케이스 내용물 보기


내용물은 크게 설명서와 조립설명서, SSD 케이스, USB A-C 케이블, USB C-C 케이블, 조립용 드라이버와 여분의 고무팁입니다.

 

 

M.2 SSD 외장 케이스 SSD 조립하기


SSD를 조립하기 위해 겉면의 고무 케이스를 벗겨줍니다. 휴대전화의 우레탄 케이스를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본체 아랫면에 십자 나사가 있는데 동봉된 드라이버로 풀어줍니다.

 

겉면 커버를 열면 연결용 단자가 보이고 여러 구멍과 고무팁이 보입니다. 단자에 끼우고 고무팁으로 고정하는 방식입니다. 사진에서 빠졌는데 SSD가 덜렁거리지 않도록 방열고무판을 덮어줍니다. 아래에서 다시 설명합니다.

 

노트북에서 적출한 SSD를 끼우고 고무팁으로 고정해 줍니다.

 

방열판으로 덮고 커버를 덮은 뒤 나사로 결합해 줍니다.

 

고무 케이스까지 끼우면 완성됩니다.

 

 

크리스탈디스크마크 결과


CrystalDiskMark로 돌려본 결과입니다. SATA SSD이기 때문에 큰 의미는 없지만 추후 NVMe SSD를 끼웠을 때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돌려봤습니다.

 

NVMe SSD에 비할바는 못되지만 고급 USB메모리와 비교하면 읽기속도는 비슷하고 쓰기 속도는 월등히 SSD가 빠릅니다. (SSD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아래는 샌디스크 익스트림 USB메모리입니다. 쓰기 속도 차이가 보이시죠?

부피에서 단점이 있지만 큰 용량의 파일이나 많은 파일을 썼다가 지웠다가를 자주 반복하시는 분들이라면 SSD케이스가 더 좋을 수도 있을 거 같습니다. 구입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